인도네시아 환경운동가들 공해 걱정하며 한국에 자금지원 철회 요구

방콕에서 발행하는 영문 일간지 ‘아시아 타임즈’ 인터넷판 최근호가 인도네시아에 신규 건설을 추진하는 석탄화력발전소를 한국이 지원하는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뤘다.

국내에서는 석탄발전소를 줄이고 있는 현실에서 남의 나라에는 석탄발전소를 짓는데 적극 원하는 행태를 꼬집기도 했고, 충남이 광역지자체로서 탈석탄동맹에 가입한 사실을 고무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충지연 로컬충남은 이 기사를 발췌해 소개한다.

인도네시아 환경운동가들이 한국의 은행들을 향해 자국의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지원을 포기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지금 인도네시아에서 새롭게 추진 중인 석탄발전소는 2개로 엄청난 공해를 배출하게 될 것이라고 이들은 우려한다.

수도 자카르타에서 10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수랄라야 복합발전은 이미 8개의 석탄화력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여기서 생산하는 전기가 3,400 메가와트로, 자바와 발리 섬의 전력량 중 18%를 차지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앞으로 2개 더 발전소를 세울 계획인데, 각기 1,000 메가와트씩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추진하는 경제개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인프라로서 필요하다고 한다.

발전소 신설을 위한 예산은 16억 7,000만 달러로 한국수출입은행(KEXIM), 한국산업은행(KDB),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에서 이 돈을 빌려주기로 돼 있다.

그린피스 인도네시아 에너지 운동가 디디트 하리오 씨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돈을 꿔주기로 한 한국의 은행들에게 ‘즉각 철회’를 호소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신규 발전소는 그들이 투자하기에는 그 영향력이 너무 크고 매우 나쁘기까지 하다. 우리는 그들에게 대신 그 돈으로 재생 가능한 에너지 프로젝트로 전환해 투자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린피스 인도네시아는 자카르타 주재 대한민국대사관에도 그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디디트 씨는 2018년 11월 9일 현재 아무런 답장도 받지 못했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석탄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는데, 인도네시아 국영 PT후타마카랴가 시공사로 두산건설과 두산중공업이 파트너로 참여해 컨소시엄을 이루고 있다.

수랄라야 복합발전은 ‘인도네시아 전력’으로 알려진 ‘PT인도라야테나가’가 운영하는데 인도네시아에서 몇 안되는 독립적인 전력생산기업 가운데 하나다. 인도네시아 전력과 계약을 체결한 컨소시엄은 지난 9월 10일 서울에서 확장 프로젝트에 합의하며 서명을 했다.

수랄라야 복합발전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발전기로 하루 3만 5,000톤의 석탄을 태운다. 원래 부근에 있는 철강공장과 중공업회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세운 발전소였다.

그린피스가 인공위성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수랄라야는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가장 많은 질소 함유물(NOx)을 방출하고 있다고 한다. NOx는 공해에 기여하는 화합물질로 인간의 건강을 해친다.

그린피스는 수랄라야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동아시아 최대의 광역도시권으로 인구 3,000만 명 이상이 살고 있는 수도권 지역까지 날아간다고 분석한다.

이에 디디트 씨는 한국의 은행들이 수랄라야 확장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은 매우 위험천만한 일이 될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한국의 은행들이 수랄라야 확장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은 자국의 석탄정책과도 맞지 않는 기이한 일이라고 지적한다. 한국에서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이 집중된 충남도는 탈석탄동맹에 가입하기도 했다.

충남은 아시아에서 탈석탄동맹에 가입한 첫 번째 광역지자체로서 2025년까지 15개의 낡은 석탄발전소를 우선 폐쇄하고, 2050년까지 화석연료 사용을 단계적으로 완전히 중지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사학연금과 공무원연금공단은 최근 석탄을 포기하고 재생가능 에너지 프로젝트로 전환한 신규 발전소 건립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우리는 석탄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지하기로 한 충남도와 석탄을 포기한 곳에 투자하기로 한 2개의 연금공단를 통해 한국에서 석탄이 사양길을 걷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 이러한 결정들이 문재인 정부로 하여금 파리 기후협정의 목표에 맞게 행동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린피스 동아시아 기후에너지 운동가 마리 창 씨의 말이다.

/허성수 기자

저작권자 © 계룡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